아름다운 산/백두대간

2005.1~06.12 한반도의 등줄기- 백두대간을 가다-(1)

땡큐 이영옥 2011. 5. 17. 14:58

 

스마일 산악회(미소산우회) 회원님 안녕하세요! 

 

    김 한종, 이 영옥 입니다.

 

분당으로 이사온지도 어느덧 4년이 흘러 갔읍니다.

백두대간을 함께한 여러분을 늘 소중하게 생각하며

새로히 미소 산악회를 통해 산행모습을 보고 있읍니다.

그동안 세계여행과 산행을 함께하여 시간이 너무 빨리 갔어요?

 

 

이곳에와 여행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새로히

 

 

1."천상의 길 차마고도" 1.2 권 (각 320 P)-2009.10  출간

 
[천상의 길 차마고도(茶馬高道)를 가다-
중국 윈난성에서 티벳,인도,네팔 대장정]

실크로드보다 200년이 앞선, 인류 역사상 최고(最古, 最高)의
문명·문화·경제 교역로 차마고도(茶馬古道).

이책은 차마고도의 이색적인 풍경을 두권의 책에 담아
우리들의 궁금증을 풀어주고 신비의 세계를
구석 구석 소개해 주고 있습니다.

유용한 역사적 자료와 함께 색다른 세계를 경험하는 계기가 되는
그리고 인류의 유산을 간직한다는 뜻깊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어
여기에 이 훌륭한 책을 간단하나마 소개합니다.

화려한 컬러로 만든 정장.


       1.천상의길 차마고도 ① 총315페이지

       2.천상의길 차마고도 ② 총311페이지














 

 

2."그리스 에개해 문명-1(320 P), "영국, 프랑스, 스페인"-2,(320  P) -2010.10 출간

 

 

 

 

 

 

 

 

 

 

 

 

 

 

 

      3."발틱 3 국"-1, "코카서스 3 국"-2 각 320 P

     두권을 묶어 한질로 2012 . 1 월 30일 에 출판하였읍니다.

 

       세계문화탐방

          1.    발틱 3국 의 역사를 찾아             P 320

     2.    코카서스 3국 기행을 마치고        P 320

 

1991년 소련방이 "페레스트로이카"와 "그로스노스트"(개방과개혁)에 의해해체되면서

거대한 공산주의 국가는 15개의 나라로 분리되어 독재와 압제의 쇠사슬을  끊으면서

각기 독립하여 민주국가로 다시 태어 나면서 독립을 이루었다.

이번에 발틱의 약소국가인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3국이 제정 러시아,스웨덴,독일 등의 강대국의 침략과 압제를  어떻게 견디어 내고,

민족과 문화를 이어가며 살아남았는가를 탐구하였고,

이어 동서의 교차로에 자리한 코카서스 3국인, 아제르바이잔, 그루지아, 아르메니어의 3국이 소련의 지배와, 페르샤 , 오스만 터키 제국의 민족말살 정책을 이겨내고,

그들의 민족과 언어와 문화를 지켜 냈는가를 깊이 탐구하는 시간을 마련하여

이를 글과 사진을 통해 구현하여 2권의 책으로 엮어 간행 하였읍니다.

 

                http:blog. daum.net/leeook11( 지구촌에 이런곳도 있다네!)

 .                                    E-Mail: leeook11@ ahnamil.net

                               2012. 01.30.  

 

 

 

 

작가 후기

 

  발틱 3국의 역사를 찾아

소련 방이 고르바쵸프의 개혁 개방 정책에 의해 공산주의 국가는 해체 되었다. 1991년 소련 방이 무너지면서 거대한 영토는 15개의 나라로 분해 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약소국인 발틱 3국이 우리에게 다가왔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3 나라는 천년 이상을 스웨덴, 독일, 러시아의 침략으로 피압박 민족으로 살아오면서도 언어, 종교, 역사가 다르다. 3 국이 다 합쳐도 한반도 보다 작으며 인구도 7백만 정도다.

그러나 에스토니아의 수도 타린은 무역을 하면서 번영을 이루었다. 1,2차 대전 후에는 소련의 침공으로 나라를 잃고 에스토니아인의 상당수가 추방되어 유랑민이 되었다.

라트비아는 근대 이후 독일이 들어오면서 현 수도인 리가는 한자동맹의 중심도시가 되었다. 이 나라도 1941년 이후 소련에 의해 10만 명이 강제 이주 당해 인구가 줄어 들었다.

리투아니아는 1230년대에는 거대한 통일 국가였으나 폴란드의 지배 당한 후 1795년 러시아로 편입되어 1941년부터 2만 명이 시베리아로 추방 되었고, 다시 독일이 침공하면서 많은 국민이 학살되었고, 30만 명이 조국을 떠나 유랑민이 되었다.

이런 약소국가의 수난은 1991년 소련의 붕괴로 비로소 독립하여 그 해 9 17일에 유엔에  가입하게 되었다.

 

이들 3국은 오랜 세월 동안 핍박을 당하고 민족이 흩어지는 수난을 당했어도 에스토니아는 나의 조국, 나의 사랑이란 노래로 민족 정체성과 고유문화를 이어가고, 라트비아는 한자동맹으로 부를 축적하여 나라를 지키고, 리투아니아는 1989년 소련의 압제 사슬을 끊으려고 빌리우스로 부 터 타린에 이르는 620 km3 나라가 인간 티로 이어 가면서 자유를 위한 투쟁을 전개하여 전세계를 감동 시킨 한편의 드라마를 연출하였다.

사울레이의 십자가 언덕에서 우리는 자유는 영원하다 라는 깊은 감명을 받았다.

 이 작은 3 나라가 전통을 유지하면서 중세시대 부 터 문화유적을 지키며 나라의 정체성을 이어가는 과정을 배우게 되었다.

 3국이 한자동맹을 맺으며 한데 뭉쳐 무역을 하면서 부를 쌓아간 과정을 배웠고, 조그만 도시 전체가 세계 문화유산으로 남아간 슬기로움을 배우는 값진 여행이었다.

 

             2011. 12.       , 사진 松山 김  한 종.  영 옥

 

 

 

 

 

작가후기

코카서스 3국 기행을 마치고

소련 방이 해체되면서 코카서스 산맥 이남 지역이 아제르바이잔, 그루지아, 아르메니아 3국으로 1991년 발틱 3국과 더불어 독립국가로 탄생하였다.

이 지역도 3 국이 합쳐도 한반도 보다 작고 인구도 1800 만에 불과하다.

주변 강대국에 의해 수 천년 동안 유린되어 나라를 잃고 민족이 수난을 겪으면서도 면면히 그들의 민족과 문화, 종교와 역사를 이어온 곳이다. 이 지역은 지정학적으로 아세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요충지로 페르시아, 오스만 터키, 몽골, 로마제국, 러시아의 침공과 지배로 얼룩진 땅이다.

 아제르바이잔은 카스피 해에 면해 있고, 원유와 Gas가 발견되면서 러시아에 약탈 당했고 독립 후 신생 산유국에 대열에 서서 날로 발전하고 있다. 카스피 해 연안의 바쿠 시는 코카서스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로서 지금은 Oil money의 상징이다.

이스람교를 국교로 하면서 지구상에서 오래된 문명의 발상지이자 불의 종교인 조로아스타교의 발상지이다. 기원 전부터의 암각화가 유명하고 왕국의 찬란한 발자취가 남아있다. 또한 중앙 아세아로부터 이스탄불에 이르는 동서 교역로의 발자취가 남아있다. 바쿠에는 강대국의 침략에 저항하다 죽어간 이들의 묘역이 꺼지지 않는 불로 장식되어 있고 어디를 가나 대형 국기가 휘날리어 애국심을 고취시키고 있다.

그루지아는 러시아의 침략통로이자 이 지역의 자원 수탈의 통로였다. 아이로닉 하게도 이 나라 Gori 지역은 소련 독재자 스타린이 태어난 곳이다. 고리에는 박물관과 그의 거대한 기념상이 서있고 그가 타고 다니던 열차가 전시되어 있다. 독재자들은 비행기 보다 열차를 이용한다는 사실을 실감하였다. 그루지아 인들도 수 천년 동안 피지배 민족으로 기독교를 받아들여 고난을 이겨내면서 박해를 피해 먼 산간 지역에 수도원을 짓고 그들의 명맥을 이어갔다. 라브라 지역의 동굴 수도원에서 종교가 그들의 정신적 지주가 된 것을 보면서, 산 정상에 동굴 교회와 카즈베기 산간 지역의 석조교회에서 그루지아 인들의 고난에 찬 삶을 보게 되었다.

최근에는 바쿠에서 터키를 거처 유럽으로 통하는 송유관이 지나는 지정학적 요충지이다. 이 나라는 온화한 기후로 장수하는 사람이 많고 양질의 포도로 와인이 유명하다.

가장 작은 나라인 아르메니아는 우리의 경,남 북 면적에 인구도 380만이다. 그러나 수 천년 간 오스만 터키의 지배로 아르메니아 인들은 추방되고 학살을 당했다. 특히 20세기 초 터키에 의한 수 차례의 대량학살은 유태인 학살보다 더 잔인한 것이다. 그로 인해 아르메니아 인들은 추방되거나 유랑민이 되어 1300만 명이 세계에 흩어져 사는 기구한 민족이다.

그들은 기원 전부터 고유 문자를 갖았고 기독교를 받아 들여 고난을 이겨가면서 뛰어난 재능과 단결력으로 유대인처럼 세계 각지에서 성공하여 이제는 그들의 조국을 돕고 있다. 그들도 산간에 교회를 짓고, 수도원을 만들어 고단한 삶을 영위하여 왔다.

 아르메니아의 문자는 1600년이 지난 지금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이 조그만 나라도 종교유적을 그들의 유산으로 삼고, 영혼의 노래를 부르며 꺼지지 않은 불로 민족의 긍지를 이어 가고 있다.

 이 세 나라에서 역사, 언어, 종교, 문화를 어떻게 지키고 이어져 가는 가를 통찰하고 배우는 계기가 되었다.

2011. 12.         , 사진 松山    한 종. 이 영 옥

 

 

 

 

 

 

 

이사오기 전에 함께한 "백두대간" 산행기록을

책으로 만들어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백두대간을 가다"-221페이지와 함께한

회원 40 여명의 사진을 함께 올리려 합니다.

최근에 백두대간을 하기란 어렵습니다.

이유는 입산 금지 구간이 도처에 있기 때문 입니다.

산을 즐기는 회원님들에게는 백두대간 종주는 가문의 영광입니다?


귀중한 사진이 미흡하신 회원께서는  E-Mail 로 사진을 보내시면 

새로운 사진을 올려 드리겠읍니다.만나는 날까지 건강 하십시요!

 

               2013.11.30   송산  김 한종, 이 영옥  

            t  

 http://blog. daum.net/leeook11( 지구촌에 이런곳도 있다네!)      

                          E-Mail: leeook11@hanmail.net

             (031) 8017-2254.   (019)-259-2254

 

 

 

 

        삼도봉에 세워진 충청,경상,전라 화합비 

 

                   태백산 주목의 겨우살이

                          

1. 백두대간과 주변 산줄기 개관                                     7

2. 백두대간은 우리민족의 자연 유산이다                          9

3. 산경표의 의한 산경도                                              10

4. 구간 나누기와 산행시 주의사항                                  11

5. 백두대간 종주기

1. 지리산 구간 1                                                     12

중산리-칼바위-법계사-천왕봉-장터목-참샘-하동바위-백무동

2. 지리산 구간 2                                                     15

중산리-삼거리-흠바위-유암폭포-장터목-촛대봉-세석-거림-중산리

3. 지리산 구간 3                                                     20

거림-세석-영신봉-토끼봉-벽소령-화계재-뱀사골-반선

4. 지리산 구간 4                                                     23

성삼재-노고단-되지령-임걸령-삼도봉-토끼봉-참샘-범왕리

5. 지리산 구간 5                                                     26

성삼재-만복대-정령치-고리봉-고기리

6. 백운산 구간 6                                                     29

노치리-수정봉-임망봉-원재-고남산-유치재-매요리

7. 백운산 구간 7                                                     32

운봉읍-유치리-사치재-새맥이재-복성이재-봉화산-송리

8. 백운산 구간 8                                                     35

송리-봉화산-광대치-월경산-중재-백운산-선바위-무녕고개

9. 백운간 구간 9                                                     38

무녕고개-영취산-북바위-깃대봉-육십령

10. 덕유산 구간 10                                                  41

육십령-할미봉-서봉-남덕유산-월성재-황점

11. 덕유산 구간 11                                                  44

병곡리-동엽령-무룡산-삿갓재-삿갓봉-월성재-황점

12. 덕유산 구간 12                                                  48

빼재-갈미봉-대봉-못봉-백암봉-동엽령-칠연계곡-안성리

13. 대덕산 구간 13                                                  51              

빼재(신풍령)-삼봉산-소사고개-초점산-대덕산-덕산재

14. 대덕산 구간 14                                                  54

덕산재-부항령-삼도봉-삼마골재-물한리

15. 대덕산 구간 15                                                  57

물한리-삼마골재-밀목령-화주봉-우두령

16. 황학산 구간 16                                                  60

우두령-삼성산-바람재-형제봉황학산-운수봉-궤방령

17. 황학산 구간 17                                                  63

궤방령-오리재-가성산-장군봉-눌의산-추풍령

18. 국수봉 구간 18                                                  66

추풍령-사기점고개-묘함산-작점고개-용문산-국수봉-큰재

19. 백학산 구간 19                                                  69

큰재-회룡재-개터재-왕실재-백학산-개머리재

20. 백학산 구간 20                                                  72

개머리재-지기재-신의터재-윤지미산-화령재

21. 속리산 구간 21                                                  75

화령재-봉황산-비재-갈령-형제봉-피앗재-만수동

22. 속리산 구간 22                                                  78

만수동-피앗재-천황봉-비로봉-신선대-문장대-밤티재-늘재

23. 속리산 구간 23                                                  81

늘재-청화산-조항산-고모치-밀재-농바위골

24. 대야산 구간 24                                                  86

버리미기재-곰넘이봉-불란치재-촛대봉-대야산-밀재-벌바위

25. 장성봉 구간 25                                                  89

버리미기재-장성봉-악휘봉-은치재-구왕봉-지름티재-은티마을

26. 희양산 구간 26                                                  92

은티-지름티재-희양산-이만봉-곰틀봉-사다리재-안말

27. 백화산 구간 27                                                  95

이화령-조봉-황학산-백화산-평전치-사다리재-안말

28. 조령산 구간 28                                                  98

이화령-조령산-신선봉-조령 3관문-고사리

29. 조령산 구간 29                                                 102

선비길-마패봉-북암문터-동암문터-부봉-평천재-탄항산-하늘재

30. 대미산 구간 30                                                 106

하늘재-포암산-만수삼거리-꼭두바위봉-부리기재-대미산-여우목

31. 황장산 구간 31                                                 109

여우목-돼지등-대미산-차갓재-황장산-감투봉-벌재

32. 황장산 구간 32                                                 112

벌재-문봉대-저수재-촛대봉-시루봉-싸리재-단양온천

33. 소백산 구간 33                                                 115

죽령-삼형제봉-도솔봉-묘적봉-뱀재-싸리재-온천

34. 소백산 구간 34                                                 118

죽령- 2 연화봉- 1연화봉-비로봉-국망봉-어의곡리

35. 소백산 구간 35                                                 121

어의곡리-국망봉-상월봉-마당치-형제봉 갈림길-고치령-좌석리

36. 소백산 구간 36                                                 124

좌석리-고치령-마구령-갈곳산-늦은목이-오전리

37. 소백산 구간 37                                                 127

도래기재-옥돌봉-박달령-선달산-늦은목이-갈곳산-봉황산-부석사

38. 구룡산 구간 38                                                 131

도래기재-구룡산-고직령-곰넘이재-신선봉-차돌배기-애당리

39. 태백산 구간 39                                                 134

화방재-천제단-태백산-깃대베기봉-차돌배기-애당리

40. 함백산 구간 40                                                 138

싸리재-은대봉-중함백-함백산-만항재-화방재

41. 매봉산 구간 41                                                 142

싸리재-금대봉-비단봉-매봉산-삼수령-건의령

42. 덕항산 구간 42                                                 146

건의령-구부시령-덕항산-환선봉-자암재-환선굴-주차장

43. 덕항산 구간 43                                                 150

댓재-황장산-큰재-자암재-환선봉-갈림길-예수원

44. 두타산 구간 44                                                 155

댓재-두타산-청옥산-고적대-이기령-상월산-백봉령

45. 석병산 구간 45                                                 160

백봉령-생계령-석병산-두리봉-삽당령

46. 화란봉 구간 46                                                 166

삽당령-석두봉-화란봉-닭목령

47. 고루포기산 구간 47                                           170

대관령-능경봉-횡계리-고루포기산-닭목령

48. 노인봉 구간  48                                                173

대관령-선자령-곤신봉-매봉-소황병산-노인봉-진고개

49. 두로봉 구간  49                                                178

진고개-동대산-차돌바위-두로봉-신배령-조개골-명개리

50. 응복산 구간  50                                                182

구룡령-약수산-마늘봉-응복산-만월봉-신배령-명개리

51. 갈전곡봉 구간 51                                               185

구룡령-갈전곡봉-왕승골-연가리골-구 조침령-쇠나드리

52. 북암령 구간 52                                                 188

쇠나드리-구 조침령-조침령-북암령-단목령-설피밭

53. 점봉산 구간 53                                                 192

한계령-1157-망대암산-점봉산-단목령-설피밭

54. 설악산 구간 54                                                 197

한계령-서북능-중청-대청봉-공룡능선-천화대-마등령-비선대-설악동

55, 설악산 구간 55                                                 200

미시령-황철봉-저항령-마등령-오세암-백담사-용대리

56. 설악산 구간 56                                                 203

미시령-상봉-신선봉-대간령-마산-진부령                                           

57. 향로봉 구간 57                                                                         208

진부령-칠절령-향로봉 쉼터-동굴봉입구-향로봉       

 Smile산악회 백두대간 회원 프로필                                  214

                 -------------*-------------

                       한반도의 등줄기

백두대간과 1정간 13정맥의 개념도

 

1.백두대간과 주변 산줄기 개관

우리나라는 남북한 면적이 약 22만 ㎢이고, 1945년 해방과 더불어 강대국에 의해 38선으로 남북이 분단되었다. 6.25동란을 거치면서 1953년 7월 27 휴전회담에서 현재와 같은  휴전선 155마일로 남과 북으로 나누어 지게 되었다.

  이제 단일 국토, 단일 민족이 이념과 사상과 체제의 대결로  반세기나 지나 왔다. 최근 수년간 남북이 화해 무드에 접어들어 가고 있으나, 이 지구상 200여 개 국가중 유일한 분단 국가라는 불명예를 지니고 있다.

 우리 국토는 수 천년 동안 우리 민족의 터전이고, 민족의 흥망 성쇄의 역사를 간직하여 왔다. 국토의 70%가 대부분 산으로 되어 있고, 그 산은 백두산에서부터 뻗어내려 한반도의 등줄기를 구성한 백두대간(白頭大幹)이 중심이다.

 시발점은 백두산(2744m) 천지에서 시작해 지리산 천왕봉(1915m)에 이르기까지 장장 약 1494 km에 이르는 도도한 산줄기이다.

 이 산줄기를 글과 지도로 정리한 것이 1800년경에, 여암(旅庵) 신 경준(申景濬) <문헌비고>라는 책에다 쓴 “산수고”(山水考)라는 글이며, 그 내용을 본 따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사람이 쓴 “산경표”(山徑表)로 나오게 된 것이다.

 그리고 1913최 남선(崔南善)이 주관한 “조선광문회”가 편찬한 영인본 “산경표”(山徑表)가 발견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지리 교과서에 실린 한반도 산맥지도가 1903년 일본인 “고토 분지로”라는 사람이 지리 교과서를 편찬하면서 명명한 것이 그대로 교육계에 통용되어 교과서에 실리게 되었다.

 이제 우리도 우리 고유의 산줄기 명을 써야 한다는  등산계의 제언이 우리것 찾기 운동의 하나로 제기되어 왔다.

 산경표의 내용은 백두산에서 지리산 까지 큰 산줄기를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그 지맥을 13개의 정맥(正脈)으로 구분하고, 산 이름, 고개 이름 등을 써서 기술하였다.   그 이름은

 (1) 백두 대간(白頭大幹): 백두산→금강산→태백산→지리산 까지 이어진 능선 약 1494km

 (2) 장백 정간(長白正幹): 함경북도 이북 두류산→두만강변 서수라 까지

 (3) 낙남 정맥(洛南正脈): 지리산 영신봉→김해 분성산 까지

 (4) 청북 정맥(淸北正脈): 평북 낭림산→천마산→평남 미곳 까지

 (5) 청남 정맥(淸南正脈): 낭림산→묘향산→평남 광랑진 까지

 (6) 해서 정맥(海西正脈): 함남 두류산→멸악산→황해도 장산곳 까지

(7) 임진 북-예성 남 정맥(臨津北-禮成南正脈): 임진강-예성강 사이, 화개산→진봉산 까지

 (8) 한북 정맥(漢北正脈): 한강 이북 추가령→대성산→도봉산→장명산 까지

 (9) 한남-금북 정맥(漢南-錦北正脈): 속리산→안성 칠현산 까지

 (10)한남 정맥(漢南正脈): 칠현산→수리산→김포 문수산 까지

 (11)금북 정맥(錦北正脈): 칠현산→충남 오서산→팔봉산→안흥진 까지

 (12)금남-호남 정맥(錦南-湖南正脈): 영취산→전북 주화산 까지

 (13)금남 정맥(錦南正脈): 주화산→계룡산→부여 조롱대 까지

 (14)호남 정맥(湖南正脈): 주화산→무등산→광양 백운산 까지

 (15)낙동 정맥(洛東正脈): 강원 매봉산→주왕산→금정산→몰운대 까지

위와 같이 산줄기는 분리되어 산밑 계곡에서 냇물이 발원하여 큰 개울이 되어 계곡을 형성하고, 마을을 이루어 삶의 터전을 제공하고, 물줄기를 막아 저수지를 만든 곳에 큰 마을이 형성되어 왔다.

 이 물줄기 들은 큰 강을 이루어 서해, 남해로 흘러 들고, 산줄기 동쪽은 낙동강이 큰 줄기를 형성하였고, 큰 강을 따라 도시가 형성되고  비옥한 농토가 이루어져 수 천년간 우리 민족의 농경 문화가 발전하여 왔다.                                                            

 산록을 따라 울창한 수목이 인간생활의 윤택을 더해 주었고, 아름다운 금수강산을 이루어 주었다. 또 그 산과 계곡의 아름다운 곳에 태고로 부터 불교 문화의 정수인 사찰이 건립되어 신앙의 지주이고 정신 문화의 요람이 되어 왔다.

 우리 나라의 아름다운 유물, 유적의 보고이며, 인간 생활의 주식인 쌀 생산이 넉넉하여 대대로 이어져 내려오는 생활 터전을 제공하였다.                                     

 대간을 따라 크게 나누어 진 국토는 함경 남-북도가 분리된 북방 생활권, 평안 남-북도의 생활권, 황해도와 경기 북부가 하나의 생활권, 한북 정맥과 금북 정맥 사이가 경기도 생활권, 금북 정맥과 지리산 사이가 호남 생활권이다. 그리고 동해안이 백두대간 산줄기로 인해 분리된 생활권으로 형성 되었다. 그리고 태백산 산줄기에서 부터 지리산 산줄기 동쪽이 영남 생활권으로 구분되어 왔다.

 이 산줄기를 따라 생활권 마다 우리 민족의 언어, 문화, 생활 습관, 농산물의 생산, 주거 형태 등이 판이하게 다르게 형성되어 발전하여 온 것이 오늘날의 지역 나누기로 연유 되었는지도 모른다.

 이제 우리 것을 찾고, 우리 국토의 사랑을 위해 국토 대장정을 계획하여 탐사하기 위한 것이 바로“백두대간 정신”이고, 이를 위한 실천이 백두대간 산줄기 타기로 발전하여 왔다.

 수 천년 간의 농경 문화가  공업화, 산업화 시대를 지나 이제는 지식, 정보 산업시대로 진입하여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가고 있다.

 대간의 산줄기, 계곡, 강은 자연으로 돌아가고, 큰 강 유역의 대도시 주변으로 인구가 집중하여 주거 문화가 아파트로 변해가고 있다. 자연이 내려준 우리 강산은 백두대간과 더불어 우리 후손에게 영원히 물려줄 국토로 가꾸어 나가자는 것이 바로 백두대간 정신이다.

 백두대간 탐사는 우리 민족에게 정신적, 육체적 문제를 떠나 나라 사랑 정신으로  이어지고 소중한 우리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계기로 이어지고 있다.

 백두 대간상의 자연 생태계의 보존과 대간 주변의 자연 자원의 보존은 우리가 미래의  후손에게 영원히 물려주어야할 국가 유산이다. 최근 개발이라는 미명하에 마구 훼손시키는 행위가 너무 심해 국가 차원의 철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백두 대간은 우리 민족의  자연 유산이다.

 

한반도의 등줄기를 형성한 백두대간은 실측거리로 남한구간이 약 735 km 로 추정된다.

이런 지형은 약 2천만년전에 태평양 해저 지각판과 유라시아 대륙 지각판이 충돌하여 융기하여 형성것으로 지질학계에서 추정한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 이 중환(1690-1752)擇理志”(택리지)에 의해 국토체계가 처음으로 문서로 기술되었다. 그 후 신 경준(1712-1781)山水考에 의해 조금더 발전하였다.

그 후 조선조 말에 김 정호(1800-1864)대동여지도에서 비로서 체계화 되었다. 대간의 가지에 해당하는 것이 13개의 정맥이다.

그동안 개발이라는 미명하에 중앙 정부가 광산개발, 산업시설, 양수발전소, 도로개설 등으로 심하게 훼손되었다. 더구나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후 지역사업과 주민들의 소득증대라는 미명하에 마구잡이 개발로 인해 국립공원을 비롯해 천혜의 원시림 비경을 마구 파해치는 우를 범하여 오고있다.

걸핏하면 주민들의 소득증대를 위한다고 도로를 내고 포장을 하여 산과 산림을 훼손하고 더구나 관광수입을 증대한다는 미명하에 도처에 케이블가를 설치하려는 자연훼손 행위를 중단하여야 한다.

정부는 뒤늦게 나마 백두대간의 소중함을 깨닫고 대간과 그 자연자원을 보존하기 위해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 구체적인 것으로 백두대간 보호법을 제정하여 실행에 옴기고 있다.

이 법에서 백두대간의 보호지역을 핵심지역완충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정하였다. 총 지정 면적은 273.427 ha 로 전 국토면적의 2.6%, 산림면적의 4%에 이르고 있다.

 그 외에 백두대간에는

1) 자연 생태계 보전지역,

2) 산림 유전자원 보호림,

3) 조수 보호구,

4) 천연 기념물 보호구역 등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또 자연자원으로 숲의 산림자원을 전국적으로 97개소에 자연 휴양림을 지정하여 시설을 하고 학생 및 일반을 상대로 년중 휴양시설로 이용하게 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백두대간은 이제 자연생태와 생명의 축으로 우리의 삶과 문화, 역사를 발전시켜가는 중심축으로 다시 태어나야한다.

 

 

 

   3. 산경표에 의한 산경도

 

 

4. 구간 나누기와 산행시 주의사항

  대간 산줄기는 백두산 천지에서 부터 지리산 천왕봉 까지 약 1494 km 이다.

이중 남한 구간은 대개 680 km 로 추정되며, 이를 체계적으로 답사하기 위하여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실제 산행에 대비하여 장비도 상당히 갖추어야 하며, 구체적이고 면밀한 산행 계획을 세워 행동에 옮겨야 한다.

우선 남쪽 구간은 정확히  강원도 고성군 향로봉(1296 m) (진부령 부터 향로봉 사이는 군부대 관할 구역) 에서 부터 전남 산청군 지리산 천왕봉(1915 m) 에 이르는 산줄기 이다.

이 구간을 어떻게 나누어야 하는가가 제일 큰 문제이고, 다음에는 대간 능선에 접근이 용이 하여야 하며, 접근로가 단거리 여야 한다는 대 원측이 앞서야 한다.

설악산에서 지리산 까지 56개의 구간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구간 마다 큰산을 중심으로 세분하여 등산 일정표를 마련하였다.

예컨데 지라산 구간은 천왕봉에서  성삼재 까지 28.2 km +5.2 km (접근거리)33.4 km 를 건각일 경우 보통 1~2회로 할 수 있으며, 실제로 대부분의 등산인이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을 4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오르는 코스와 내려가는 코스를 각기 달리하여 지리산 산군의 모든 곳을 두루 답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 하였다.

그리고 종주산행의 출발점도 아래에서 위로 통일 지향적으로 설정하고 계획 하였다.

무릇 많은 등산인들은 대간 전 구간을 몇 회, 몇 일에 하느냐에 큰 관심을 두어 야간에도 무리한 산행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경향을 떠나 대간 산줄기를 타면서 진정으로 우리 국토를 샅샅이 다녀보고, 철 따라 변하는 자연 경관, 사람들의 살아가는 모습, 고유한 문화, 지방 마다의 음식, 특성 등을 살펴볼 기회를 마련 하였다. 더욱이 도처에 산재한 문화 유적과 유물들을 탐방하면서, 국토사랑, 나라사랑을 심어가는 계기로 삼았다.

매회 갈 때마다 주변의 명소와  볼만한 것을 1~2군데 추가하여 탐방하는 것도 좋다.

이렇게 우리 산하는 산줄기를 따라 강이 발원하여 흐르고, 그 기슭에 민족사에 애환이 서려있는 각종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살펴 볼 수 있게 하였다.

이런 구간이 지리산, 덕유산, 속리산, 태백산, 오대산, 설악산 구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런 구간은 대체적으로 세분하여 답사를 하였다.

도상 거리는 대간 능선에 접근하는 거리 까지 포함하여 추정한 것이다.             

남한의 680 km 의 중간지점은 대미산황장산 사이에 있다. 지금은 도로가 잘 정비되고 교통수단의 발달로 예전과 달리 무박으로 강행군을 안하여도 가능하다. 여기에는 구간을 잘 조정하여 입신지점과 하산지점을 잘 선택하고 구간을 무리없이 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끝으로 안내지도는 1:50.000 을 사용하고, 대간능선을 붉은색으로, 접근로는 점선으로 표시하여 놓았다. 언제나 지도를 참고하고 총 산행거리를 계산하여 하루 일정으로 무리없게 산행계획을 세우고 진행하였다. 접근로 포함 약 848 km  추정된다.

겨울철 산행과 우기산행에 대비하여야 하며 늘 무리한 진행을 삼가도록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