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17.우리문화유산답사-한국정신문화의 고장-안동일대-(31) 2015.09.17. 우리 문화 유산답사 한국정신문화의 고장 (31) <안동일대> 글,사진:김 한 종 (사진: 전교당 연수 모습) 경북 안동은 우리 나라 정신문화의 정수가 있는 곳이다. 동쪽으로는 태백산맥 자락에 진보, 영양에 이르고, 북서쪽으로는 소백산맥이 경계를 이루고 영주와 봉화, 풍천과 예.. 김한종 여행기/우리문화유산 답사 2015.09.25
2015.08.20 우리문화유산답사-이씨조선의 발상지-전주일대-(30) 2015. 08.20 우리 문화 유산 답사 이씨조선 발상지에서 < 조선의 얼을 찾아 가는 길> -전주 일대- (30) 글, 사진: 김 한 종 (사진: 태조 이성계 어진) 지금은 고속도로로 쉽게 갈 수 있지만 전주는 한양에서 먼 거리였다. 호남 평야로 내려간 입구 복판에 자리잡아 멀리로는 삼한시대에는 마한.. 김한종 여행기/우리문화유산 답사 2015.08.28
2015.07.18.우리문화유산답사-강화도<저항의 섬>-교동도 일대-(29) 2015.07.18 우리 문화유산 답사 강화도-저항의 섬 <교동도-유배의 고장> (29) <강화도~교동도 일대> 글, 사진: 김 한 종 (사진:강화산성 섬화루) 강화도와 교동도, 석모도 전도 서울에서 가까운 강화도는 민족의 성지로 산에는 단군에게 제사를 지내는 참성단(塹聖壇)이 있다. 이런 곳은.. 김한종 여행기/우리문화유산 답사 2015.08.01
2015.05.23. 우리문화유산답사-충남 부여 일대-<28> 2015.05. 23 우리 문화 유적 답사 충남 부여 일대 <잃어버린 역사를 찾아서> (28) 글, 사진: 김 한 종 백제는 기원전 18년에 주몽의 2째 아들인 비류가 북 부여에서 온조의 무리를 이끌고 한강 유역으로 남하해 지금의 위례에 나라를 세웠다. 이 지역에서 하남 위례성이 이루어 지면서 백제.. 김한종 여행기/우리문화유산 답사 2015.05.25
2015.04.18. 우리문화유산답사-선비의 고장-경북 예천-<27> 2015.04.18 우리 문화유산 답사 선비의고장-예천을찾아서 (27) 글, 사진: 김 한 종 (사진: 초간정 전경) 경북예천은 소백산맥의 자락속에 산자 수명하여 예부터 농업이 발달하고 선비가 많이 태어난 곳이다.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에 수주군에서 예천군으로 바뀌면서 지금의 안동시 풍산읍, 풍.. 김한종 여행기/우리문화유산 답사 2015.05.02
2015.04.18. 우리문화유산답사- 남도 유배지를 찾아서-(26) 2015. 04. 08~10 우리 문화유산 답사 남도 유배지를 찾아서 <26> 다산 초당-미황사-땅끝마을 청산도-장도-보길도-세연정 글,사진: 김 한 종, 이 영옥 (사진: 보길도 세연정) 봄이 오면서 남도 3백리 길에 나그네의 발길이 바빠진다. 예전 같으면 기나 긴 유배 길에 한양을 떠나면 10여 일이 걸.. 김한종 여행기/우리문화유산 답사 2015.04.24
2015.03.21 -우리문화유산답사-<충절의 고장-천안일대>-(25) 2015. 03. 21. 우리 문화 유산 답사 <충절의 고장-천안 일대> (25) 글,사진:김 한 종 (사진: 유 관순 열사 영정) 천안일대는 서울에서 멀지 않아 경부선을 따라가면 한 시간 이내에 도달 할 수 있는 위치이다. 예로부터 교통의 요지였고 주변이 얃으막한 산과 분지로 되어있어 “하늘아래.. 김한종 여행기/우리문화유산 답사 2015.04.01
2014.12.08 우리문화유산 답사-한양도성 600년의 발자취를 따라서 -<24> 2014.12.08 우리 문화유산 답사 한양 도성 600년의 발자취를 따라 (24) 글 : 김 한 종 (사진: 서울 성곽 전도) 600여 년간 한양의 울타리 역할은 한 도성은 당시 육조전 사거리인 현재의 광화문 원단 옆 보신각에서 새벽에 33번의 바라를 처서 문을 열고, 저녁에 인경을 28번 울려 문을 닫았다. 먼 시.. 김한종 여행기/우리문화유산 답사 2014.12.31
우리문화유산답사-한양도성 600년의 발자취를 따라-(24> 2014.12.08 우리 문화유산 답사 한양 도성 600년의 발자취를 따라 (24) 글 : 김 한 종 (사진: 서울 성곽 전도) 600여 년간 한양의 울타리 역할은 한 도성은 당시 육조전 사거리인 현재의 광화문 원단 옆 보신각에서 새벽에 33번의 바라를 처서 문을 열고, 저녁에 인경을 28번 울려 문을 닫았다. 먼 .. 김한종 여행기/우리문화유산 답사 2014.12.24
우라문화유산답사-조선유학의 거장-송 시열가를 찾아-대전,옥천일대-<23> 2014. 11. <우리문화유산 답사> 조선 유학의 거장 송 시열가의발자취를 찾아 (23) -대전 옥천 일대- 글, 사진: 김 한 종 (사진: 우암 송시열) 어느덧 금년도 벌써 저물어 간다. 금년에 여행과 답사는 저조한 편이라 아쉬운 점을 남기면서 한해는 그저 뒤안길로 사라져 간다. 이번 답사지역은.. 김한종 여행기/우리문화유산 답사 2014.12.02